티스토리 뷰
오는 7월부터 시행되는 맞춤형 보육을 두고 어린이집 등 민간·가정어린이집 등 보육 시설 관계자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17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정론관에서는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와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 두 기관이 연이어 맞춤형 보육 철회, 연기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강한 반발 의사를 내비쳤다.
맞춤형 보육은 2013년 1월 1일 이후 태어난 어린이집 만 0~2세반 아이들의 보육을 부모의 자격에 맞춰 조정·제한하는 제도이다. 전업주부를 포함한 외벌이 가정 영아의 보육 시간을 1일 6시간 이하로 제한하고 비용은 20% 삭감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에 대해 먼저 한국민간어린이집(이하 한민련)은 ‘맞춤형 보육 철회를 위한 기자회견’을 통해 “맞춤형 보육에 대한 철회를 요구한다. 정부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전국 동시 휴원 등 대정부투쟁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장 회장은 “현재 민간가정어린이집은 누리과정에서는 유치원과 차별을 받고, 0~2세아 영아반보육료는 법적 근거도 없이 국공립시설과 차별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항변하며 “당초 3월부터 시행하겠다던 맞춤형 보육을 7월 시행으로 미룬 것은 정부도 이 정책의 부당함을 알고 총선에서 보육 학부모들의 질책을 피하려고 했던 꼼수”라고 지적했다.
장 회장은 “맞춤형보육은 보육료 예산 20% 삭감이 주요 목적”이라며 “맞춤형보육을 시행하게 되면 보육교사의 인건비를 삭감이 불가피해진다. 보육교사들의 사기저하와 불만고조로 인한 제2의 보육대란이 벌어진다면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17일 국회 정론관에서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가 "예산에 맞춘 맞춤형 보육 전면 재검토 요구"를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고은 기자 ⓒ베이비뉴스 |
이어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이하 한가연) 역시 맞춤형 보육이 보육 예산 삭감을 위한 정책이라는데 동의하며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 시행을 비판했다.
한가연 김옥심 회장은 “보건복지부가 작년 말 2016년 보육료 6%인상 발표 후, 적용을 불과 한 달 여 앞두고 ‘맞춤형 보육 시행을 전제로 한 예산’이라고 말을 바꾸며 실제 올 3월 보육료를 3% 인상하는 데 그쳤다”고 지적했다.
이어 “맞춤형 보육은 전업주부 자녀의 어린이집 이용 시간을 6시간 이하로 제한한다는 데서 교사 근로시간도 줄어든다고 예측해 그만큼 보육료를 감액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라며 “보육교사의 인건비 삭감 우려를 제기해 고용 안정을 위협할 뿐 아니라 학부모의 양육방식을 철저히 외면하는 차별 정책”이라고 말했다.
이날 두 기관의 기자회견에 동석한 남인순 의원은 “보육의 질 개선이라는 명분은 보육료 예산 삭감을 위한 것일 뿐”며 맞춤형 보육 반대 주장에 힘을 실었다. “예산을 편성하기 전 시범사업을 통한 결과 분석, 문제 개선이 이뤄졌어야 했는데 그렇지 않았다. 정부는 맞춤형 보육 도입을 위해 무리한 일정을 강행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남 의원은 말했다.
한편 지난해 민간·가정어린이집은 저가보육료 및 정원미달로 인한 운영난을 겪으며 1400여 곳이 폐원했으며 올해 약 5000여개의 어린이집이 폐원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Copyrights ⓒ 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교육.보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주시유치원현황 2016년 (0) | 2016.06.27 |
---|---|
맞춤형 보육, 오히려 ‘보육의 질’ 하락 시킬 것 (0) | 2016.05.19 |
문 닫는 어린이집 '이중고' 원아 줄고, 정부는 모르고... (0) | 2016.05.19 |
사립 유치원들 엉터리 회계운영 (0) | 2016.05.18 |
어린이집원장님들이 유치원설립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0) | 2016.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