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한겨레 | 입력 2015.01.22 20:00

한겨레]복지부 업무보고

"가정양육수당 늘려

0~2살 가정양육 유도"

여성고용 막는 부작용 우려


인천 아동학대 사건 발생 뒤 정부가 어린이집에 폐회로텔레비전(CCTV) 설치를 의무화하겠다고 나선 데 이어, 중장기적으로 보육교사의 근무 조건을 개선하고 0~2살 영아의 가정양육을 유도하겠다는 계획을 추가로 내놨다.

보건복지부는 22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보육의 질을 높이려고 보육교사 1명이 돌보는 아동 수를 줄여나가겠다고 밝혔다. 0~2살 아동에 대한 '가정 양육수당'을 늘리거나 전업가정의 어린이집 이용 시간을 제한하는 가정양육 유도 정책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아동학대 사건 뒤 정부가 양육 수당을 늘려주면 아이를 직접 키우겠다고 나서는 전업주부가 느는 추세를 고려한 방안이다.

지금은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면 매달 최대 77만7000원의 보육료가 지원되는데, 집에서 돌보면 양육수당으로 최대 20만원이 지급된다. 이 때문에 '집에서 아이를 키우면 손해'라는 인식이 강하다.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고 있는 이아무개(35·서울 영등포구)씨는 "어린이집에 대한 불신이 커진데다 5살 이전에는 엄마와 교감하는 게 좋다고 한다"며 "양육수당이 늘어나면 문화센터나 키즈카페를 이용해 직접 아이를 돌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효정 한국영유아보육학회장(중원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은 "0~2살 영아는 양육자의 일관성이 중요해 가정양육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연구 보고가 많다"고 설명했다.

가정양육의 필요성과 긍정적 효과에 대한 공감대는 넓지만, 양육수당을 늘리는 식으로 가정양육을 유도하는 정책 방향을 두고는 견해가 엇갈린다. 찬성 쪽은 어린이집 이용을 줄이고 가정양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본다. 반대론자들은 여성한테 양육을 떠넘기게 돼 여성고용을 가로막는 부작용을 키울 것이라고 비판한다. 김남희 참여연대 복지노동팀장은 "한국 여성들은 저임금·비정규직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부가 양육수당을 늘리면 일보다 양육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교육부도 이날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유치원에 시시티브이 설치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68%인 유치원 시시티브이 설치율을 내년까지 90%로 높이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교육부는 아동학대가 발생하면 유치원·유아학원을 곧바로 폐쇄하고 학원장과 강사는 학원 운영·근무를 하지 못하도록 관련 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박수지 이수범 양선아 기자suji@hani.co.kr

728x90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