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채무자의 재산을 강제집행하기 위해서는 집행권원이 필요합니다. 집행권원이란 일정한 사법상의 급여청구권의 존재 및 범위를 표시하고 그 청구권에 집행력을 인정한 공정의 문서를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증서가 집행권원으로 되는가는 민사집행법 기타의 법률에 정하여져 있고, 이에는 주로 판결 및 이에 준하는 효력을 가지는 조서가 집행권원으로 되나 그 외에 당사자의 진술에 따라서 공증인 또는 법무부장관의 인가를 받은 합동법률사무소 및 법무법인이 작성한 증서도 집행권원이 됩니다.
즉, '공증인법' 제56조의2 제1항, 제4항은 "공증인은 어음ㆍ수표에 부착하여 강제집행을 인낙하는 취지를 기재한 공정증서를 작성할 수 있고, 이 증서는 민사집행법 제56조의 규정에 불구하고 그 어음 또는 수표에 공증된 발행인과 배서인 및 공증된 환어음을 공증인수한 지급인에 대하여는 집행권원으로 본다."하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공증된 약속어음은 집행권원으로서의 효력을 가지게 되므로, 공증어음에 집행문을 부여받아 채무자의 재산에 대하여 바로 강제집행절차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판례는 "약속어음에 공증이 된 것이라고 하여 이 약속어음이 '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있는 것에 의하여 확정된 채권"이라고 할 수 없다."하고 하였으며, "공정증서는 집행력이 있을 뿐이고 기판력이 없기때문에 기판력 있는 판결을 받기 위하여 공정증서의 내용과 동일한 청구를 소로 제기할 이익이 있다고 할 것이다."하고 하였으므로, 약속어음공정증서는 기판력이 인정되지 않고, 약속어음공정증서에 기하여 강제집행 할 수 있는 소멸시효기간은 지급기일로부터 3년으로 보아야 합니다.
또한, 공정증서에 따른 청구에 관한 이의에 관하여 '민사집행법' 제59조 제3항은 "청구에 관한 이의의 주장에 대하여는 제44조 제2항의 규정[판결에 따라 확정된 청구에 관한 이의는 그 이유가 변론이 종결된 뒤(변론 없이 한 판결의 경우에는 판결이 선고된 뒤)에 생긴 것이어야 한다는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하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재산명시신청에 관하여 '민사집행법' 제61조 제1항 본문은 "금전의 지급을 목적으로 하는 집행권원에 기초하여 강제집행을 개시할 수 있는 채권자는 채무자의 보통재판적이 있는 곳의 법원에 채무자의 재산명시를 요구하는 신청을 할 수 있다."하고 규정하고 있고, 약속어음 공정증서도 금전채권을 내용으로 하는 집행권원이라 할 수 있는 집행증서에 속한다 할 것이므로 집행문을 첨부한 약속어음공정증서에 기하여도 재산명시신청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약속어음공증(약속어음공정증서)의 효력|작성자 팀장 현우
'유치원,보육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양주.구리사립유치원 설립인가가능지역-아이교육연구소 (0) | 2014.07.19 |
---|---|
평택사립유치원 인가 가능지역 - 아이교육연구소 (0) | 2014.07.19 |
법제처, 사립유치원공동운영 설립 할 수 있어-아이교육연구소 (0) | 2014.06.17 |
2014년 용인시 어린이집 수급계획-아이교육연구소 (0) | 2014.06.11 |
경기도 부천시「사립유치원 설립인가(변경인가) -아이교육연구소 (0) | 2014.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