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2년 방문요양수가 및 본인부담금에 대해 정리합니다.

2022년도에 적용되는
재가이용 월 한도액입니다.
1등급부터 5등급,
인지지원등급까지
골고루 한도액이 인상되었습니다.
1, 2등급의 인상폭이 대폭 상향 조정된것이
눈에 띕니다.
1, 2등급 어르신들을 케어하는것이
더 어려운 일이고 요양 보호사 선생님들을
구인하는 것도 힘든데,
지금까지는
240분 수가 비율이 낮다 보니
다른 등급에 비해 시급을 더 드릴수가 없었죠.
동일한 시급을 드려도
오히려 다른 등급 어르신들에 비해
수익이 적어지다 보니
1~2등급 어르신을 케어할 요양 보호사 선생님을
구인할 때
시급을 더 드릴 수 없었던 애로사항이
있었습니다.
이런 애로사항이
수가의 인상폭 상향 조정과 함께
다소나마 해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가가 많이 오르면
정해진 본인 부담금도
오르기 마련입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30분 단위로 현재(2021년)수가,
내년(2022년)수가가 잘 표시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장 많이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본인부담금,
180분(3시간)은
현재
7,227원에서 7,560원으로 오르게 됩니다.
하루에 대략 330원 꼴이네요.
4등급 어르신께서 24일간 서비스를 이용하셨을 때,
7,990 원 (한달) 정도가 올라갑니다.

4등급 어르신 기준으로
대략 한달에 8천원 꼴로
본인 부담금이 높아졌다고 알고 있으면
상담시에 빠른 응대가 가능하겠죠?
더욱 구체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시는
120분, 180분, 240분 기준으로
본인 부담금은 얼마인지 살펴볼께요.
|
일반 대상자 (15%)
하루 기준 |
2시간 (120분)
|
5,759 원
|
3시간 (180분)
|
7,560원
|
4시간 (240분)
|
9,293원
|
|
40% 경감 대상자 (9%)
하루 기준 |
2시간 (120분)
|
2,455원
|
3시간 (180분)
|
4,536원
|
4시간 (240분)
|
5,576원
|
|
60% 경감 대상자 (6%)
하루 기준 |
2시간 (120분)
|
2,304원
|
3시간 (180분)
|
3,024원
|
4시간 (240분)
|
3,717원
|
그리고 등급별로,
한달동안 얼마나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지도 중요하죠.
계산해보니 올해와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습니다.
(거의 동일)
그래도 혹시 모르니 정리해 드릴께요
등급
|
1일
서비스 시간 |
서비스
가능일수 |
1등급
|
4시간
|
27일
|
3시간
|
33.1일
|
|
2등급
|
4시간
|
24일
|
3시간
|
29.5일
|
|
3등급
|
3시간
|
26.8일
|
4등급
|
3시간
|
24.7일
|
5등급
|
3시간
|
21.2일
|

보호자 및 수급자 분들께서
가장 궁금해 하시는 한달 본인 부담금
(최대 금액 기준)
|
일반
- 한달 기준 |
경감(9%)
- 한달 기준 |
경감(6%)
- 한달 기준 |
1등급(하루4시간)*27일
|
250,911
|
150,552
|
100,359
|
2등급(하루4시간)*24일
|
223,032
|
133,824
|
89,208
|
3등급(하루3시간)*26일
|
196,560
|
117,936
|
78,624
|
4등급(하루3시간)*24일
|
181,440
|
108,864
|
72,576
|
5등급(하루3시간)*21일
|
158,760
|
95,256
|
63,504
|
'요양(병)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요양시설내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설치 의무화 (0) | 2023.02.20 |
---|---|
노인장기요양시설(요양원) 2023년 급여유형별 장기요양수가 (0) | 2023.02.16 |
방문요양 본인 부담 알려드립니다. (0) | 2022.07.14 |
방문목욕 센터 설치 신고 절차 (0) | 2022.07.06 |
재가급여 월 한도액(방문요양) (0) | 2022.06.24 |